연합뉴스
국민 건강 증진을 위해 시행하는 '담뱃세 인상'의 약효가 4개월에 그친다는 분석 결과가 나왔다. 금연을 유도하기 위한 정책들이 일시적인 효과에 그치거나 별다른 영향을 주지 못하는 것으로 드러나면서, 기존 금연 정책에 한계가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18일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개인의 행태 변화 유도를 위한 현금지원정책의 효과와 시사점' 보고서에 따르면 담뱃값 인상 직후에는 판매량이 일시적으로 줄어들었으나, 불과 4개월 정도가 지나면 그 효과가 사라지고 판매량이 다시 이전의 추세로 돌아오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고서는 이런 단기 효과와 부작용을 고려할 때, 단발성 가격 인상을 반복하는 정책이 과연 바람직한지 의문을 제기했다. 흡연자들이 담뱃값 변화에 얼마나 민감하게 반응하는지를 보여주는 중요한 통계도 제시했다. 담배 수요의 가격탄력성은 -0.42에서 -0.44로 추정됐다. 이는 담뱃값을 10% 인상해도 실제 담배 판매량은 4.2%에서 4.4% 정도만 감소한다는 뜻이다.
궐련형 전자담배의 등장이나 담뱃갑에 혐오스러운 경고 그림을 넣는 것과 같은 비가격 요인들이 전체 담배 판매량에 미치는 영향도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
흡연자들이 전자담배를 기존 담배의 대체재로 여기거나, 경고 그림에 익숙해져 더 이상 충격을 받지 않기 때문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연구팀은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단발성 가격 인상 정책의 한계를 지적하고, 보다 근본적인 대안을 제시했다. 가장 핵심은 담뱃세를 소비자물가와 연동해 매년 자동으로 올리는 '물가연동제' 도입이다. 이는 물가 상승으로 인해 담배의 실질적인 가격이 하락하는 것을 막아 지속적인 금연 동기를 부여하고, 동시에 급격한 가격 인상으로 인한 시장의 충격과 물가 상승의 부담을 줄일 수 있다.
가격을 한 번에 올리는 일보다 '매년 꾸준히 조금씩' 올려 흡연자들이 가격 변화에 둔감해지는 현상을 막고, 장기적인 관점에서 흡연율을 낮추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는 게 연구팀의 설명이다.
아울러 보고서는 가격 정책 외에 '노담(No담배) 캠페인'(2020년부터 시행된 보건복지부 주도 흡연예방 및 금연문화 확산 캠페인)과 같이 사회적 규범을 활용해 흡연에 대한 내재적 동기를 줄이거나, 담배의 니코틴 함량을 점진적으로 줄여 중독성을 낮추는 등의 다양한 정책 조합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담뱃세 인상·경고 그림도 의미 없었다…효과 4개월뿐
나우경제기자 2025-08-18 08:08:43
연합뉴스
국민 건강 증진을 위해 시행하는 '담뱃세 인상'의 약효가 4개월에 그친다는 분석 결과가 나왔다. 금연을 유도하기 위한 정책들이 일시적인 효과에 그치거나 별다른 영향을 주지 못하는 것으로 드러나면서, 기존 금연 정책에 한계가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18일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개인의 행태 변화 유도를 위한 현금지원정책의 효과와 시사점' 보고서에 따르면 담뱃값 인상 직후에는 판매량이 일시적으로 줄어들었으나, 불과 4개월 정도가 지나면 그 효과가 사라지고 판매량이 다시 이전의 추세로 돌아오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고서는 이런 단기 효과와 부작용을 고려할 때, 단발성 가격 인상을 반복하는 정책이 과연 바람직한지 의문을 제기했다. 흡연자들이 담뱃값 변화에 얼마나 민감하게 반응하는지를 보여주는 중요한 통계도 제시했다. 담배 수요의 가격탄력성은 -0.42에서 -0.44로 추정됐다. 이는 담뱃값을 10% 인상해도 실제 담배 판매량은 4.2%에서 4.4% 정도만 감소한다는 뜻이다.
궐련형 전자담배의 등장이나 담뱃갑에 혐오스러운 경고 그림을 넣는 것과 같은 비가격 요인들이 전체 담배 판매량에 미치는 영향도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
흡연자들이 전자담배를 기존 담배의 대체재로 여기거나, 경고 그림에 익숙해져 더 이상 충격을 받지 않기 때문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연구팀은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단발성 가격 인상 정책의 한계를 지적하고, 보다 근본적인 대안을 제시했다. 가장 핵심은 담뱃세를 소비자물가와 연동해 매년 자동으로 올리는 '물가연동제' 도입이다. 이는 물가 상승으로 인해 담배의 실질적인 가격이 하락하는 것을 막아 지속적인 금연 동기를 부여하고, 동시에 급격한 가격 인상으로 인한 시장의 충격과 물가 상승의 부담을 줄일 수 있다.
가격을 한 번에 올리는 일보다 '매년 꾸준히 조금씩' 올려 흡연자들이 가격 변화에 둔감해지는 현상을 막고, 장기적인 관점에서 흡연율을 낮추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는 게 연구팀의 설명이다.
아울러 보고서는 가격 정책 외에 '노담(No담배) 캠페인'(2020년부터 시행된 보건복지부 주도 흡연예방 및 금연문화 확산 캠페인)과 같이 사회적 규범을 활용해 흡연에 대한 내재적 동기를 줄이거나, 담배의 니코틴 함량을 점진적으로 줄여 중독성을 낮추는 등의 다양한 정책 조합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