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회

부동산 시장 양극화에…전셋값 격차도 2년 반 만에 최대

나우경제기자2025-07-13 09:12:33(admin)
  • 글자크기
  • 프린트

7d6b033c2500e757f5b16cd692f5fdf4_1752365532_2454.jpg[연합뉴스 자료사진]
부동산 시장의 수도권-지방 간 양극화가 심화하면서 전국 아파트 전세가격도 상-하위 격차가 약 2년 반 만에 가장 크게 벌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연합뉴스 자료사진]서울과 수도권은 주요 지역을 중심으로 매매가와 더불어 전셋값도 상승을 지속하고 있으나 지방은 미분양이 계속 쌓이는 등 부동산 경기 전반이 위축돼 전셋값 역시 하락세를 이어간 결과로 풀이된다.

13일 KB부동산에 따르면 전국 아파트 전세시장에서 고가 주택과 저가 주택 간 평균 가격 격차를 나타내는 5분위 배율은 지난 6월 기준 7.7로 2022년 11월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을 기록했다.5분위 배율은 주택 가격 상위 20% 평균(5분위 가격)을 하위 20% 평균(1분위 가격)으로 나눈 값이다. 배율이 높을수록 가격 격차가 크다는 뜻이다.

6월 기준으로 전국의 5분위 평균가격은 6억7천849만원, 1분위는 8천869만원으로 집계됐다.

평균 전셋값이 가장 높은 서울은 5분위가 12억3천817만원, 1분위는 2억8천84만원이었고 수도권과 광역시를 제외한 기타지방은 5분위 3억2천983만원, 1분위 5천301만원이었다.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6·27 대출규제 영향이 본격화한 7월 첫째 주에도 서울 전세가격은 상승폭이 전주 0.07%에서 0.08%로 소폭 확대됐다. 수도권 전체(0.05%→0.03%) 전셋값도 상승세를 이어갔다.

서울의 경우 자치구별로 차이는 있으나 정주 여건이 양호한 역세권이나 대단지, 학군지 등을 중심으로 임차 수요가 이어지는 상황이라 전체적으로는 상승세가 계속되고 있다.

반면 지방(-0.01%)은 작년 12월 첫째 주 이후 30주째 전세가격이 한 번도 상승 전환하지 못했다.

지방은 올 5월 말 기준으로 준공 후 미분양이 전국의 83%를 차지할 정도로 주택 수요가 부진하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댓글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