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교육

아이에게 부동산, 코인도…'밥상머리' 조기 경제 교육

나우경제기자2025-07-11 09:03:33(admin)
  • 글자크기
  • 프린트

e6dd7277cccd30d32d00cd5cbcfc23ed_1752192206_8945.jpg
‘금융 선진국’이라 불리는 나라 각국의 금융교육 시스템이다. 특히 유대인의 금융교육은 전 세계 금융교육의 근간이 될 정도로 간단하고 또 체계적이다. 어려서부터 용돈 관리를 위해 지출을 꼼꼼히 기록하게 한다. 더 나아가 주식, 채권 등 다양한 금융상품 투자 교육도 받는다. 금융의 기본 원칙인 ‘자신이 감당할 수 있는 자산 수준에 비해 높은 위험을 감수하지 않는다’를 잘 지켜야 한다.독일의 미디엄 스카우트는 학생들이 비즈니스를 직접 경험할 수 있도록 학교 내에 교육적으로 설립된 회사의 한 종류다. 이런 학생 회사는 독일 전역에 220여개에 달한다. 학교 예산으로 교내 매점을 운영하기도 하고, 기업과 협업해 제품이나 서비스를 만들기도 한다. 미국, 영국도 사회, 수학, 외국어 등 여타 과목과 실용적인 금융을 결합한 ‘총체론적 관점’을 길러주는 데 집중하고 있다. 대학 등록금이 전체 부채 중 두 번째로 많은 미국은 많은 주(州)에서 중학교 때부터 신용, 부채 관리법이나 금융기관 활용법 등을 교육하고 대학 진학에 필요한 학자금 마련 방안부터 장학금 신청하기 등을 커리큘럼으로 도입하고 있다.

필자가 중학생이었을 때 부모님이 ‘용돈 통장’을 만들어 주셨다. 월 5만원으로 일주일에 얼마를 써야 알차게 소비하고 저축할 수 있을까 고민했던 기억이 있다. 절반은 저축하고 절반은 소비하는 습관. 소비 계획은 어떻게 수립해야 할지. 문방구를 드나들며 무엇을 사고 싶은지 리스트를 정리하고 그 물건을 굳이 사야 하는지 검토해보는 습관. 이 모든 습관이 성인이 된 이후까지 이어진다.

저축이 최고의 투자이고 미덕인 시절이 있었다. 지금은 아니다. 1%대의 초저금리로 저축은 돈을 모으는 수단보다 돈을 그대로 가두는 수단이 된 것 같다. 묶인 현금을 어떻게 하면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을지에 대한 다양한 방법론 중 주식, 가상자산 투자가 주목을 받고 있다.

밀레니얼 세대가 부모 세대로 편입되면서 금융교육에도 달라지는 모습이 여럿 보이기는 한다. 과거 소비습관에 머물렀던 금융교육이 투자로 확대됐다. 자녀 명의로 주식 계좌를 트기도 하고 심지어는 가상자산도 증여한다. 그렇지만 대부분이 ‘우리 아이 부자로 키우기’로 수렴된다. 이는 다소 추상적인 목표 설정으로 비춰질 수 있고, 나아가 돈에 대한 왜곡된 욕망을 심어줄 수 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댓글목록